농식품부, 사과·배 재배면적 감소는 수급에 미미한 영향
Last Updated :
사과와 배 재배면적 변화에 대한 농식품부 설명
최근 매체에서 보도된 사과와 배 재배면적에 대한 내용이 사실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 농식품부에서 설명하였습니다.
- 사과 재배면적은 ’02년 26,163㏊ 이후 증가하여 ’24년 33,298㏊로 최근 2년간 3만 3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배 재배면적은 수요 감소로 ’19년 이후 감소세가 정체하여 9천㏊ 수준을 유지 중입니다. 따라서 사과·배 재배면적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닙니다.
- 농식품부는 사과, 배 재배면적의 감소로 인한 ‘금사과’, ‘금배’ 상황이 장기화된다는 과도한 해석에 대해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작황 전망과 농식품부의 대응 대책
사과 재배면적(㏊) | 배 재배면적(㏊) |
(’19) 32,954 | (’19) 9,615 |
(’20) 31,598 | (’20) 9,091 |
(’22) 34,603 | (’22) 9,680 |
(’23) 33,789 | (’23) 9,607 |
(’24) 33,298 | (’24) 9,394 |
농식품부에 따르면 ’24년 사과, 배 재배면적에 평년 수준의 작황을 가정할 경우 사과는 485천톤, 배는 193천톤 등 평년 수준 생산이 가능하며, 현재까지의 기상 및 생육상황을 고려할 때 올해 사과 작황은 평년 수준을, 배 작황은 평년 수준 이상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마·폭염·태풍 등 기상 재해 대응과 탄저병 등 병해충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과수 생육관리협의체」를 통해 생육시기별 위험요소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1. 사과와 배 재배면적이 최근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일까요?
답변1. 아니요, 사과 재배면적은 최근 2년간 3만 3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배 재배면적도 ’19년 이후 감소세가 정체하여 9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과와 배 재배면적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질문 2. 사과와 배 재배면적의 감소로 ‘금사과’, ‘금배’ 상황이 장기화될 가능성은 있을까요?
답변 2. 해당 내용은 과도한 해석이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올해 사과 작황은 평년 수준을, 배 작황은 평년 수준 이상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과와 배의 재배면적 감소로 인한 ‘금사과’, ‘금배’ 상황이 장기화되는 것은 현실적인 가능성이 높지 않습니다.
질문 3. 농식품부는 어떻게 생육환경을 관리하고 있나요?
답변3. 농식품부는 기상 재해 대응 및 병해충 발생 최소화를 위해 「과수 생육관리협의체」를 통해 생육시기별 위험요소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특히 모니터링, 재해예방시설 점검, 기술지도 강화, 방제약제 살포 등을 통해 올해 과일 생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 사과·배 재배면적 감소는 수급에 미미한 영향 | PC버전 : https://pc-version.com/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