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예산 26조, 예방에 70% 투자하는 이유는?
정부 재난안전예산 2025년 사전협의 통보
행정안전부가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난 6월 28일 기획재정부에 통보한 2025년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년도 재난안전예산 규모와 분류
내년도 재난안전예산 규모는 총 432개 사업 26조 1000억 원으로, 2024년 대비 3.9% 증가한 수준입니다. 예산은 사회재난 및 안전사고 분야, 재난구호·복구 등 공통 분야, 자연재난 분야로 분류되었습니다.
- 사회재난 및 안전사고 분야: 12조 2000억 원 (46.7%)
- 재난구호·복구 등 공통 분야: 7조 1000억 원 (27.2%)
- 자연재난 분야: 6조 8000억 원 (26.1%)
재난 안전예산 상세 내역
분야 | 금액(억 원) |
풍수해 | 4조 9000억 원 (19.0%) |
재난구호 및 복구 | 3조 8000억 원 (14.7%) |
도로 안전 | 2조 4000억 원 (9.0%) |
철도 안전 | 2조 2000억 원 (8.6%) |
산재 | 1조 3000억 원 (5.0%) |
재난 대응 단계별로는 예방 18조 1000억 원(69.3%), 복구 5조 4000억 원(20.7%), 대비·대응 2조 6000억 원(10.0%) 순으로 투자되었습니다.
중점 투자 방향
내년 사전협의(안) 마련을 위해 6대 중점 투자 방향을 제시했는데, 기후 위기 피해 저감, 대형·복합재난 대응력 강화 등 다양한 방향으로 투자할 예정입니다.
- 기후 위기 피해 저감을 위한 기반 인프라 강화
- 대형·복합 재난에 대한 대응력 강화
- 국민의 안전한 일상 생활환경 구축
- 맞춤형 안전 취약계층 지원
- 국민과 함께하는 안전 문화 조성
사업 효과성 및 투자 우선순위
각 부처에서 요구한 재난안전예산 사업에 대해 투자 등급을 검토하고, 투자 확대, 투자유지, 투자축소를 선정했습니다. 또한 새로운 재난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예측·예방 중심의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했습니다.
- 투자 확대: 153개(10조 7000억 원)
- 투자유지: 222개(9조 4000억 원)
- 투자축소: 53개(2조 1000억 원)
특히, 주요사업으로는 재해위험지역정비, 새로운 재난환경 대응을 위한 기술 활용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부의 재난안전예산 운영 방향
재난 예측·예방 중심의 재정투자를 통해 급변하는 재난안전 환경에서 안전을 지키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내실 있는 사전협의 제도 운영으로 재난안전예산이 적재적소에 투자되도록 할 계획입니다.
문의 : 행정안전부 안전예방정책실 안전사업조정과(044-205-4166)
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으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합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1. 행정안전부가 2025년 재난안전예산에 대한 사전협의를 진행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행정안전부는 2025년 재난안전예산의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난 6월 28일에 기획재정부에 사전협의(안)을 통보했습니다. 이를 통해 재난안전예산의 효율적인 편성과 투자 방향 결정을 위해 사전에 중앙행정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한 것입니다.
질문 2. 내년도 재난안전예산의 주요 사업 분야 및 투자 방향은 어떻게 결정되었나요?
내년도 재난안전예산은 사회재난·안전사고, 재난구호·복구, 자연재난 분야로 구분되어 총 26조 1000억 원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또한, 행안부는 6대 중점 투자 방향을 제시하여 기후 위기 대응, 대형·복합 재난 대응력 강화, 안전한 일상 생활환경 구축 등에 중점적으로 투자할 것을 결정했습니다.
질문 3. 내년도 재난안전예산의 투자 등급은 어떻게 결정되었으며, 주요 사업은 무엇인가요?
내년도 재난안전예산의 428개 사업 중 153개 사업에 10조 7000억 원이 추가로 투자되고, 222개 사업에는 9조 4000억 원의 투자가 유지되었습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재해위험지역정비, 홍수예보 및 수문조사 지원, 대형·복합 재난 대비를 위한 지능형 CCTV관제체계 구축 등이 있습니다.